한국인 자주 틀리는 맞춤법 7개 알아보기
- 유용한정보/생활정보
- 2016. 5. 7. 19:00
한국인 자주 틀리는 맞춤법 7개 알아보기
한국어는 맞춤법이 참 어렵습니다.
그럼 어떻게 써야 하는지, 우리가 자주 틀리는 맞춤법 사례를 모아봤습니다.
1. 안 된다(O) / 않된다(X)
많은 사람이 ‘안’과 ‘않’의 차이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고 쓰고 있습니다.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안’을 ‘아니’로, ‘않’을 ‘아니하’로 바꿔보세요.
어떤 것이 자연스러운지 살펴보고 쓰면 됩니다.
그건 말이 안 된다. -> 그건 말이 아니 된다. (O) 그건 말이 않된다. -> 그건 말이 아니하된다. (X) 자신감을 잃지 안되 -> 자신감을 잃지 아니되 (X) 자신감을 잃지 않되 -> 자신감을 잃지 아니하되 (O) |
2. 돼었다(X) / 되었다(O)
‘돼’와 ‘되’는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요?
이 맞춤법도 상당히 많이 틀리는데요, 위에 나온 ‘않’과 비슷한 원리를 적용하면 됩니다.
‘돼’를 ‘되어’로 넣어보세요.
그리고 말이 되면 쓰면 되고, 말이 안 되면 ‘되’로 쓰면 됩니다.
돼지가 돼었다. -> 돼지가 되어었다. (X) -> 돼지가 되었다. (O) 문제가 돼고 있다. -> 문제가 되어고 있다. (X) -> 문제가 되고 있다. (O) |
3. 어떻해(X) / 어떡해(O)
솔직히 이런 건 틀리지 맙시다.
‘어떠하게 해’를 줄이면 ‘어떻게 해’가 되고, 이걸 한 번 더 줄이면 ‘어떡해’가 됩니다.
‘어떻해’는 없습니다.
영어의 ‘how’를 뜻하는 ‘어떻게’는 있습니다.
틀리지 마세요.
이건 틀리면 창피한 겁니다.
어머 나 어떻해? (X) 어머 나 어떡해? (O) 어떻해 이걸 틀릴 수 있지? (X) 어떻게 이걸 틀릴 수 있지? (O) |
4. 웬지(X) / 왠지(O)
이제 난이도가 올라갑니다.
여기서부턴 틀리는 것도 이해가 됩니다.
저도 헷갈리거든요.
‘웬’을 ‘어찌 된’으로 놓고 말이 되나 보세요.
말이 되면 맞는 것이고, 말이 안 되면 틀린 겁니다.
‘왠지’는 하나의 완성된 단어로 ‘왜 그런지 모르게’의 준말이니, ‘왠지’가 헷갈리신다면 ‘왜 그런지 모르게’를 넣어보세요.
웬일이니? -> 어찌 된 일이니? (O) 오늘은 웬지 느낌이 좋아. -> 오늘은 어찌 된지 느낌이 좋아. (X) 오늘은 왠지 느낌이 좋아. -> 오늘은 왜 그런지 모르게 느낌이 좋아. (O) |
5. 어의없는(X) / 어이없는(O)
‘어이없다’는 ‘어처구니가 없다’의 준말입니다.
잘 보면 어처구’니’의 ‘니’가 ‘ㅣ’로 끝나죠?
그래서 어’이’없다로 외우시면 되겠습니다.
어이없나요?
나 참 어이가 없어서 (O) 나 참 어의가 없어서 (X) |
6. 불리우다(X) / 불리다(O)
많은 사람이 헷갈려 잘못 쓰고 있는데, ‘불리우다’는 틀린 말입니다.
‘불리다’가 맞는 말입니다.
이진혁은 천재라고 불리운다. (X) 이진혁은 천재라고 불린다. (O) |
7. 담배를 피다(X) / 담배를 피우다(O)
‘피다’는 자동사입니다.
네. 영어 배울 때 많이 배웠던 그 자동사입니다.
즉 목적어 없이 주어와 동사만으로 문장을 완성할 수 있을 땐 ‘피다’를 써도 되지만, ‘담배’와 같이 목적어가 들어가는 경우에는 ‘피우다’가 맞습니다.
강남대로에서는 담배를 피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X) 강남대로에서는 담배를 피우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O) 꽃이 피다. (O) 꽃이 피우다. (X) |
============================================
★ 매일매일 좋은글 받아보기!!!(카카오스토리)
============================================
============================================
유용한 글 잘보셨다면 하트 꼭 눌려주세요.^^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