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차례상, 제사상 차리는 법과 설 차례 지내는 순서 방법

반응형

설 차례상, 제사상 차리는 법과 설 차례 지내는 순서 방법



민족 고유의 명절인 설이 다가오고 있다. 설에는 가족들과 함께 모여 차례를 지내는데요. 홍동백서, 두동미서, 면서병동 등등 어렵게만 느껴지는 차례상 차리기로 고민이신 분들도 많을 것 같다. 그래서 설 차례상 똑똑하게 차리는 꿀팁 준비했다. 이제, 설 차례상 차리기 이것만 기억하자.



설 차례상, 제사상 차리는 법과 설 차례 지내는 순서 방법 알아보도록 하자.


▶ 설 차례상 차리는 법



차례상을 차리는 법은 지방마다 달라 어떤 것이 옳다고 말하기 어렵다. 다만 차례상을 차리는 원칙은 거의 동일하다.

차례상은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으로 본다. 제주(제사의 주장이 되는 상제)가 있는 쪽이 남쪽이고, 제주가 바라볼 때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되는 것이다.

차례상은 보통 5열로 차린다. 병풍에서 가까운 쪽을 1열로, 멀어질수록 차례대로 2열, 3열로 본다.


1열에는 반서갱동(飯西羹東) 상을 차리는 사람이 봤을 때 밥과 술은 서쪽, 동쪽에는 국을 놓고 시접(수저 그릇)은 가운데에 둔다.


2열에는 차례상의 주요리인 구이와 전이 차려진다. 차리는 순서는 어동육서(魚東肉西). 어류는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


3열에는 부요리 격인 탕이 올라간다. 일반적으로 육탕(육류), 소탕(두부, 채소류탕), 어탕(어류탕)을 만드는데 건더기만 건져 수북하게 담아야 한다.


4열에는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류가 배열된다. 좌포우혜(左脯右醯). 북어와 대구, 오징어포는 서쪽, 식혜는 동쪽에 둔다. 나물은 생동숙서(生東熟西). 동쪽에 김치, 서쪽에는 익힌 나물을 놓는다.


5열에는 과일과 과자 등이 올라간다. 이때 과일은 양(陽)의 수인 홀수로 올려야 한다. 조율이시(棗栗梨枾)와 홍동백서(紅東白西)를 지켜 서쪽부터 대추와 밤 배 곶감 약과 강정 순으로 차린다. 사과와 같이 붉은 과일은 동쪽, 배 등 흰 과일은 서쪽에 둔다.


▶ 설 차례상 음식 준비 방법



차례상에 차리는 음식도 각 지방의 특색에 따라 다양하다. 그렇지만 역시 준비해야 하는 기본은 비슷하다.

먼저 탕국은 3합이라고 해서 소고기 두부 해산물을 넣는다. 나물류는 보통 5종류로 파란나물 무나물 도라지 고사리 콩나물을 준비한다.

소고기 산적은 핏물을 빼고 간장과 물엿을 넣어 푹 졸인다.

동태전과 육완전(동그랑땡)은 밀가루를 묻힌 뒤 계란물에 적셔 팬에 노릇노릇하게 구워낸다.

오색꼬치는 손이 많이 가지만, 가족이 좋아하는 음식이다. 보통 햄 소고기 잔파 맛살을 꼬지에 끼워 계란물에 적셔 잘 지져낸다.

부추전도 경상도에는 빠지지않고 준비하는 음식이다. 부추를 잘게 썬 뒤 해물을 섞어 밀가루로 반죽해서 잘 구워내면 된다. 부추전 대신 배추전을 상에 올리는 지역도 있다.

튀김은 보통 오징어 쥐포 고구마를 많이 했지만, 최근엔 오징어 대신 새우로도 많이 한다. 끝으로 생선은 보통 조기 돔 민어 등 3가지를 팬에 타지않게 구워낸다.


▶ 간소한 설 차례상 차림


최근에는 탕, 구이, 전, 나물, 과일 등 종류별로 두서너 개만 준비해서 차례상을 차리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또 상 차림 음식은 최소화하고 갈비나 불고기 등 가족이 먹을 음식을 따로 준비하기도 한다. 아예 식사를 밖에서 하는 집도 늘고 있다. 이 때문에 설날 아침부터 문을 열고 특수를 노리는 음식점이 있을 정도다.


원칙을 지키면서도 간소하게 차례상을 차릴 수도 있다. 기존 5열에서 3열로 줄여 상 차림을 자체를 줄이고 음식도 대폭 간소하게 만든다.

예를 들면 1열에 국수 떡국 술잔을 놓는다. 2열에는 요리격인 생선(조기) 동태전 육완전 오색꼬치 소고기전 부추전 삼색나물을 놓는다.

3열에는 탕국 사과 배 곶감 포 정도를 놓는 것이 대체적이다. 여기에서 1열에 국수, 2열에 오색꼬치 소고기전 삼색나물 등을 빼기도 한다.


차례상 차릴 때 주의할 점




☞ 치 자로 끝나는 생선


예로부터 삼치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들어간 생선은 흔하다 하여, 차례상에 올리지 않았다고 한다.


☞ 털이 있는 과일


과일 중 복숭아와 같이 털이 있는 과일은 차례상에 올리지 않는다. 조상들은 복숭아가 귀신을 물리치는 힘이 있다고 믿어, 차례상에는 쓰지 않았다고 한다.


☞ 향신료는 안돼!


차례 음식에는 향신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고춧가루나 마늘은 귀신을 쫓는 대표적인 음식이기 때문이다.


☞ 짝수가 아닌 홀수로!


짝수는 양을 의미하고 홀수는 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음식을 올릴때는 홀수의 개수로 올려야 한다.


※ 이 외에도 재료에 붉은 팥은 쓰지 않고 흰 고물을 사용하는 점을 꼭 기억하자.


설차례상 - 설 차례 지내는 순서 방법


전통식 제례진행순서


1. 영신(迎神)


대문을 열어 놓는다. 젯상의 뒷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젯상 위에 제수를 진설한다. 지방(紙榜)을 써 붙이고 제사 준비를 마친다. 고례(古禮)에는 '출주(出主)'라 하여 사당에서 신주(神主)를 모셔 내오는 의식이 있었으나, 신주 대신 지방을 쓰는 요즘 이 절차는 생략된다.


2. 강신(降神)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으로써 제주(祭主)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고 앉아 향로에 향을 피운다. 집사(執事)가 젯상에서 잔을 들어 제주에게 건네주고 잔에 술을 조금 따른다. 제주는 두 손으로 술잔을 들고 향불 위에서 세 번 돌린 다음,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따른다. 빈잔을 집사에게 다시 건네주고 일어나서 두 번 절 한다. 향을 피우는 것은 하늘에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고, 모사그릇에 술을 따르는 것은 땅아래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3. 참신(參神)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모든 참사자가 일제히 두번 절 한다. 미리 제찬을 진설하지 않고 참신 뒤에 진찬(進饌)이라 하여 제찬을 올리는 경우도 있다. 진찬때는 주인이 육(肉), 어(魚), 갱(羹)을 올리고 주부가 면(麵), 편(餠), 메(飯)를 올린다.


4. 초헌(初獻)

제주가 첫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한다.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부어주면,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다음 두 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그것을 받아서 밥그릇과 국그릇 사이의 앞쪽에 놓으며, 이어 제주는 두 번 절 한다. 합설(合設)인 경우 잔은 고위(考位-아버님 자리)앞에 먼저 올리고 다음에 비위(어머님 자리) 앞에 올린다. 집안에 따라서는 술을 올린 뒤 밥그릇의 뚜껑을 여는 경우도 있다.


5. 독축(讀祝)

초헌이 끝나고 참사자가 모두 꿇어 앉으면 독축자가 옆에 앉아서 축문을 낭독한다. 축문은 제주가 읽어도 되는데, 엄숙한 목소리로 또박또박 천천히 읽으시면 된다. 축문읽기가 끝나면 모두 일어나 두 번 절합니다. 과거에는 독축 뒤에 곡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6. 아헌(亞獻)

두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원래는 주부가 아헌을 드렸다.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올리시면 된다. 절차는 초헌 때와 같으나 모사에 술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


7. 종헌(終獻)

세번째(마지막)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자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아헌 때와 같이 한다. 잔은 7부쯤 부어서 올리시면 된다.


8. 첨작(添酌)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제주가 다시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으면 집사는 술 주전자를 들어 종헌 때 7부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세번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다.


9. 삽시정저(揷匙正箸)

첨작이 끝나면 주부가 밥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밥그릇의 중앙에 꽂는다. 젓가락을 고른뒤 어적이나 육적 위에 가지런히 옮겨 놓는다. 숟가락은 바닥(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한다. 삽시정저가 끝나면 제주는 두번, 주부는 네번 절 한다. ◈ 유식(侑食) : 첨작과 삽시정저의 두 절차를 통틀어 유식이라 하는데 이는 진지를 권하는 의식이다.


10. 합문(闔門)

참사자가 모두 잠시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잠시 기다린다. 대청마루에 제상을 차렸으면 뜰 아래로 내려가 읍(揖)한 자세로 잠시 기다리면 된다. 단칸방의 경우에는 제자리에 엎드려 잠시 동안 있다가 일어선다.


11. 계문(啓門)

닫았던 문을 여는 절차이다. 축관이 헛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열고 들어가면 참사자가 모두 뒤따라 들어간다.


12. 헌다(獻茶)

탕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뒤 밥 세술을 떠서 물에 말아 놓고 저를 가지런히 한다. 이때 참사자는 모두 머리를 숙이고 잠시동안 조용히 앉아 있다가 고개를 든다.


13. 철시복반(撤匙覆飯)

숭늉 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어 제자리에 놓고 밥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


14. 사신(辭神)

고인의 영혼을 전송하는 절차로서, 참사자 모두 신위 앞에 일제히 두번 절한 뒤, 지방과 축문을 불 사른다. 지방은 축관이 모셔 내온다. 신주일 때는 사당으로 모신다. 이로써 제사를 올리는 의식절차는 모두 끝나게 된다.


15. 철상(撤床)

제상 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뒤쪽에서부터 차례로 물려 거두어 들인다.


16. 음복(飮福)

참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한다. 고례에는 '준'이라 하여 참사자 뿐만 아니라 가까운 이웃들에게 제사음식을 나누어 주고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가 대접하기도 했다.



현대식 제례진행순서


1. 분향강신(焚香降神)

제상 위에 흰 종이를 깔고 제수를 진설한 뒤, 지방을 써서 붙인다. 제주가 분향하고, 모사그릇에 술을 부 은 뒤 제주와 참사자가 일제히 신위 앞에 두 번 절 한다.


2. 초헌(初獻)

고인에게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술잔을 채워 두 손으로 받들고 밥그릇과 국그릇 사이 앞쪽에 놓고 두번 절 한다.


3. 독축(讀祝)

초헌이 끝나면 제주는 축문을 읽고 두 번 절 한다. 축문을 읽는 동안 다른 참사자들은 모두 꿇어 앉아 머리를 약간 숙이고 경건한 마음으로 경청한다.


4. 아헌(亞獻)

축문 읽기가 끝나면 주부가 두번째 술잔을 올리고 두번 절 한다.


5. 종헌(終獻)

제주의 근친자가 세번째 술잔을 올리고 두 번 절 한다.


6. 삽시(揷匙)

제수를 많이 드시라고 비는 의미로 숟가락을 밥에 꽂고 모든 참사자가 고개를 숙여 묵념한다.


7. 헌다(獻茶)

숭늉(혹은 냉수)을 국과 바꾸어 놓고, 수저로 밥을 조금씩 세번 떠서 물에 만 다음 수저를 물그릇에 가지런히 놓는다.


8. 사신(辭神)

제사절차가 마쳐져서 신위를 보내드리는 절차이다. 참사자 일동이 일제히 신위 앞에 큰 절을 올리는데, 이는 안녕히 가시라는 작별의 인사를 드리는 것 이다.


9. 철상(撤床)

지방을 거두어 축문과 함께 불사르고, 상을 물려 정리한다.


10. 음복(飮福)

참사자들이 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음복을 함으로써 조상님들의 복을 받는다는 속신(俗信)이 있다.


제사, 차례상의 용어


▷ 반(飯).메 - 밥을 말한다. 식기에 신위수대로 수북히 담고 뚜껑을 덮는다.

▷ 갱(羹) - 국. 쇠고기와 무를 네모로 납작하게 썰어 끓인 국

▷ 숙수(熟水) 숭늉이다. 냉수나 더운물을 그릇에 담는다.

▷ 면(麵) 국수. 삶아 건더기만 건져 담아 올렸으나, 요즈음에는 거의 생략하고 있다.

▷ 편 떡. 현란한 색깔의 떡은 피한다. 대개 시루떡을 정사각형의 접시에 괸다.

▷ 편청 꿀이나 조청 또는 설탕을 작은 접시에 담는다.

▷ 탕(湯) 찌개를 말한다. 탕은 홀수, 그릇 수를 쓰는데 대개 3탕을 쓰고 5탕을 쓰기도 하며 근래에는 함께 끓여서 1탕을 하기도 한다.

- 3탕 : 육탕(쇠고기). 어탕(생선을). 소탕(채소와 두부)

▷ 전(煎) 부침개. 육전과 어전 2가지를 쓰며 육회와 어회를 보태 4가지를 쓰기도 한다.

- 육전(肉煎) : 고기를 다져서 두부와 섞어 동그랗게 만들고 계란 노른자를 묻혀서 기름에 부친다.

- 어전(魚煎) : 생선을 납작하게 저며서 계란 노른자를 묻혀서 기름에 부친다.

적(炙) 구이. 제사음식 중 중심이 되는 특별 식으로 예전에는 3가지를 마련해 술을 올릴 때마다 바꾸어 올렸으나 근래에는 처음에 함께 올린다.

- 육적(肉炙) : 쇠고기를 대꼬치에 꿰어 굽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쇠고기를 손바닥 너비로 30cm 정도의 길이로 토막내어 칼집을 내고 소금이나 간장만으로 양념해 익힌다.

- 어적(魚炙) : 생선을 입과 꼬리끝을 잘라내고 칼집을 내어 소금간장으로 양념해 익힌다. 접시에 담을때 머리가 동쪽으로 배가 신위 쪽으로 가게 담는다.

- 계적(鷄炙) : 닭구이. 털을 뽑고 머리와 두발을 잘라낸 다음 익힌다.


▷ 숙채(熟菜) 익힌 나물. 대개 고사리, 도라지, 배추나물 등 3가지를 한 접시에 담거나 각각 따로 담는다.

▷ 침채(沈菜) 물김치. 고춧가루를 쓰지 않고 희게 담근 나막김치.

- 경상도 지방에서는 쓰지 않는 집이 많다.

▷ 청장(淸醬) 맑은 간장

▷ 과일류 전통적으로 대추, 밤, 감(홍시 또는 곶감), 배 였으나 이것들은 꼭 준비하고 그 밖에 계절에 따라 나는 사과, 수박, 참외, 석류 등의 과일을 차려도 좋다.

▷ 포(脯) 고기를 말린 육포나 생선의 껍질을 벗겨 말린 것. 보통 북어포를 많이 사용한다.

- 경상도 지방에서는 예로부터 제상에 북어포 외에 대구포, 건 문어, 건 가오리, 건 낙지 등 건어물에 중점을 두어 제수를 준비하였다.

※ 각 지방이나 가정의 전통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 매일매일 좋은글 받아보기!!!(카카오스토리)

 ☞ http://me2.do/5m9fdeR4

 ☞ http://me2.do/5m9fdeR4

==============================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kakao